1월 22 2005
같이 읽고 싶은 책 두권
오늘 토요일이라 회사에서 조금 시간이 남아 알라딘을 검색해 보았다. 그래서 나타난 책 두권!
한권은 미쳐야 미친다(不狂不及) isbn(8987787842)
1. 벽癖에 들린 사람들
미쳐야 미친다 | 벽(癖)에 들린 사람들
굶어 죽은 천재를 아시오? | 독보적인 천문학자 김영
독서광 이야기 | 김득신의 독수기와 고음벽
지리산의 물고기 | 책에 미친 바보 이덕무
송곳으로 귀를 찌르다 | 박제가와 서문장
그가 죽자 조선은 한 사람을 잃었다 | 노긍의 슬픈 상상
2. 맛난 만남
이런 집을 그려주게 | 허균과 화가 이정
산자고새의 노래 | 허균과 기생 계량의 우정
어떤 사제간 | 권필과 송희갑의 강화도 생활
삶을 바꾼 만남 | 정약용과 강진 시절 제자 황상
실내악이 있는 풍경 | 홍대용과 그의 벗들
돈 좀 꿔주게 | 박지원은 짧은 편지
노을치마에 써준 글 | 가족을 그린 정약용의 편지
3. 일상속의 깨달음
연기속의 깨달음 | 이옥과 박지원의 소품산문
그림자놀이 | 이덕무와 정약용의 산문
천하의 지극한 문장 | 홍길주의 이상한 기행문
신선의 꿈과 깨달음의 길 |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에 관한 허균의 생각
세검정 구경하는 법 | 정약용의 유기 세 편
또 한권은 살아있는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M_ 더 보기 | 다 봤어요 |
첫 번째 할 일 – 사랑에 송두리째 걸어보기
두 번째 할 일 – 소중한 친구 만들기
세 번째 할 일 – 은사님 찾아뵙기
네 번째 할 일 – 부모님 발 닦아드리기
다섯 번째 할 일 – 영광은 다른 사람에게 돌리기
여섯 번째 할 일 – 고향 찾아가기
일곱 번째 할 일 – 지금, 가장 행복하다고 외쳐보기
여덟 번째 할 일 – 자신을 소중히 여기기
아홉 번째 할 일 – 마음을 열고 대자연과 호흡하기
열 번째 할 일 – 두려움에 도전해보기
열한 번째 할 일 – 경쟁자에게 고마워하기
열두 번째 할 일 – 추억이 담긴 물건 간직하기
열세 번째 할 일 – 사람 믿어보기
열네 번째 할 일 – 다른 눈으로 세상 보기
열다섯 번째 할 일 – 마음을 열고 세상 관찰하기
열여섯 번째 할 일 – 동창 모임 만들기
열일곱 번째 할 일 – 낯선 사람에게 말 걸어보기
열여덟 번째 할 일 – 사랑하는 사람 돌아보기
열아홉 번째 할 일 – 단 하루, 동심 즐겨보기
스무 번째 할 일 – 동물 친구 사귀기
스물한 번째 할 일 – 3주 계획으로 나쁜 습관 고치기
스물두 번째 할 일 – 인생의 스승 찾기
스물세 번째 할 일 – 큰 소리로 “사랑해”라고 외쳐보기
스물네 번째 할 일 – 혼자 떠나보기
스물다섯 번째 할 일 – 남을 돕는 즐거움 찾기
스물여섯 번째 할 일 – 혼자 힘으로 뭔가를 팔아보기
스물일곱 번째 할 일 – 일기와 자서전 쓰기
스물여덟 번째 할 일 – 돈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기
스물아홉 번째 할 일 – 작은 사랑의 추억 만들기
서른 번째 할 일 – 날마다 15분씩 책 읽기
서른한 번째 할 일 – 정성이 담긴 선물하기
서른두 번째 할 일 – 나만의 취미 만들기
서른세 번째 할 일 – 용서하고, 용서받기
서른네 번째 할 일 –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기부하기
서른다섯 번째 할 일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요리하기
서른여섯 번째 할 일 – 건강에 투자하기
서른일곱 번째 할 일 – 악기 하나 배워보기
서른여덟 번째 할 일 – 다른 이의 말에 귀 기울이기
서른아홉 번째 할 일 – 고난과 반갑게 악수하기
마흔 번째 할 일 – 나무 한 그루 심기
마흔한 번째 할 일 – 약속 지키기
마흔두 번째 할 일 –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배우기
마흔세 번째 할 일 – 먼 곳의 친구 사귀어보기
마흔네 번째 할 일 – 사소한 것의 위대함 찾아보기
마흔다섯 번째 할 일 – 자신에게 상주기
마흔여섯 번째 할 일 – 꿈을 설계하고 성취하기
마흔일곱 번째 할 일 – 자신의 능력 믿기
마흔여덟 번째 할 일 – 세상을 위한 선물 준비하기
마흔아홉 번째 할 일 – 잊지 못할 쇼 연출해보기_M#]
대학시절 어줍잖은 선배라고 후배들의 인사자리 물론 첫 술자리에서지만 꼭 해주던 내가 즐겨 사용한 말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한번은 미쳐보아라. 여자나 술이나 공부나 기타 어떤 내가 좋아하는 것에 미쳐보아라. 젊었다는 것으로 모든 것을 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 않느냐. 대학이란 너에게 주어진 정말 좋은 기회다. 한번 미쳐보면 다음에 조절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물론 이미지는 알라딘에서…
1월 24 2005
까치밥
일요일 한가한 오후…
빈이엄마랑 이모랑 할머니는 저녁거리, 빈이분유를 핑계삼아 오늘도 대형마트를 누가 훔쳐가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 오전부터 바쁘다. 점심때거리 챙겨놓고 갈려고… 난 빈이엄마랑 작은 이모랑 쇼핑가면 이모한테 다짐을 받는다. 몇시까지 안들어오면 알아서 하라고 한다. 오늘도 아니나 다를까 데드라인 10분전에 문열고 들어온다. 마음이 급해서 쇼핑을 제대로 못한다나? 3시간반이 모자르면 나보고 어쩌라고…
빈이이모부랑 어제는 김치찌게를 놓고 한잔, 오늘도 이모,엄마가 준비해준 닭도리탕을 놓고 술잔을 마주놓고 앉았다. 잔이 몇순배 돌아가고 우리빈이도 엄마가 사온 설치레를 입고 좋아 이모가 틀어놓은 트로트메들리에 춤한판으로 흥겹다. 등뒤로 계속해서 들려오는 고향찾기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저멀리 앙상한 감나무가 눈에 들어왔다.
난 고향을 떠올리면 항상 우리집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커다란 감나무와 어린시절 누가 목을 매었다니하는 무시무시한 얘기의 옆집의 백년도 넘은 감나무가 떠오른다. 우리집 담장 주위에는 수령이 50년이 넘은 감나무가 6그루가 집을 둘러싸고 해마다 초여름 마당에 떨어진 감꽃으로 목걸이를 만들고 그 감꽃을 주워먹으며 여름의 시원한 그늘과 가을의 풍성함을 안겨주었고 겨울 찬바람의 따뜻한 아랫목에서 시사(묘사)후 나눠먹던 잘 마른 시루떡에 찍어먹던 잘익은 홍시와 어린시절 감나무를 타며 감을 따고 떨어지며 하는 그 기억들이다.
우리집은 길가집이라 지금은 도로공사한다고 담장의 감나무는 모조리 다 잘려버렸지만 옆집의 백년넘은 감나무는 누구도 자르기를 두려워하여 아직도 어른 두사람이 손을 맞잡아야하는 밑둥치와 봄이면 싹을 틔우고 가을이면 홍시를 주렁주렁 매달고 겨울이면 휘영청 밝은 달빛에 커다랗고 애처롭게 걸려있는 까치집 하나와 그 옆에 매달린 조그만 그림자들 ‘까치밥’을 매달고 처연히 서 있다.
매년 가을걷이가 끝나갈 무렵 우리 삼형제는 아버지랑 감나무에 올라가 감을 딴다. 감나무는 가지가 너무 강건해서 잘 찢어진다. 큰가지 작은가지 할 것없이 결방향으로 너무 잘 찢어지기 때문에 몸을 지탱해주는 커다란 나무가지에 위태롭게 걸터앉아 대나무로 만든 길다란 장대의 끝을 반으로 쪼개 감이 달린 끝가지 부분을 꺽어서 감을 딴다. 물론 홍시는 다 떨어진 양말을 동그란 고리에 매달아 그 속에 감을 넣고 살며시 꼭지를 흔들어 딴다.
감을 따다보면 감따기가 갑자기 재밌어진다. 감나무가지를 꺽을 때 힘조절을 잘해야 감이 가지에서 떨어지지않고 잘 따지지만 조금만 힘을 과하게 쓰면 감이 가지에서 떨어져 버린다. 그 느낌을 가질 때쯤이면 벌써 한나무의 감이 거의 떨어질 즈음이다. 마저 남은 것을 딸라치면 밑에선 아버지가 이제 그만따라고 하신다. ‘까치밥’이란다.
우리네 조상들은 없이 살아도 그래도 한겨울 먹을 것도 없이 지내는 새들을 배려하여 까치밥이라는 이름으로 감나무 가지마다 몇 개의 빨간 까치밥을 매달아 놓고 겨울을 지냈다. 왜 까치밥이었을까?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나 소식이 온다고 믿었던 우리네가 그 새들을 위한 선물에다 사람들의 기원을 까치밥이란 이름으로 매달아 놓았던 건 아닐까?
감나무는 참 버릴 것이 없는 나무다. 봄이 되면 잎을 따 감잎차를 만들고 그런 후 감꽃이 피면 그것으로 술을 만들고 여름이면 시원한 그늘을 가을이면 열매를 겨울이면 낙엽과 지나는 바람에 다쳐 떨어진 잔가지로 불쏘시게를 만들고 수명이 다하면 그 강건한 성질과 나이테의 좌우균형이 좋아서 자개장으로 만들고 나머지 잔가지로는 빨래방망이를 만들어 썼다. 감나무에는 벌레가 자라지 못한다. 타닌성분이 살충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벌레가 없어 오랜기간 사용하여도 나무가 썩거나 비틀어지지 않고 오래도록 옷감을 잘 보존할 수 있다.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하여 그 감으로 꽂감을 만들고 그 껍질을 잘 말려 겨울 어린아이들의 간식거리로 먹었다. 처마끝에 매달린 곶감을 몰래 빼어 먹던 일과 이일을 너무나 잘 알고 있던 부모님은 산감을 따서 곶감을 깍아 어린아이들이 일부러 빼먹게 두고 좋은 감을 일부러 골라 손이 닿지 않는 선반에 올려놓고 말렸다. 어린 시절 뒤산 호랑이보다 더, 일본순사보다 더 무서운 것이 곶감이었다. 어린아이가 보채면 호랑이가 잡아간다. 순사가 잡아간다해도 울음을 그치지 않던 울던 아이도 ‘곶감주까’ 한마디면 그만이었다.
지금은 그 오래된 고목의 까치밥도 이젠 더이상 까치밥이 아니다. 농촌의 젊은 일손들은 벌써 도시로 떠나버리고 더 이상 겨울 간식거리로 감도 필요치않고 또 그걸 딸 수 있는 사람도 없다. 겨울서리에 흐물흐물해진 서러운 감은 더 이상 까치밥도 아닌 마당을 더럽히는 귀찮은 존재밖에 되질 못한다. 그래도 아직도 내게는 겨울철 서러운 달빛아래 늙은 감나무에 걸린 까치집과 까치밥이 내게는 고향하면 떠오르는 아련한 잔상이다.
By vinipapa • 엄마아빠 • 0